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포렌식5

스마트폰 삭제 메시지 복구와 법적 증거 활용 1. 스마트폰에서 삭제 메시지가 복구 가능한 이유 스마트폰에서 메시지를 삭제했다고 해서 실제 데이터가 즉시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모바일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삭제하면 데이터 영역의 해당 공간을 ‘사용 가능’ 상태로 표시할 뿐, 실제 정보는 덮어쓰기 전까지 그대로 남아 있다. 디지털 포렌식에서는 이 잔존 데이터를 특수 툴로 읽어 복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기기의 SQLite 데이터베이스나 iOS의 백업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삭제된 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동기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로컬 저장소에서 사라진 데이터도 서버 백업에서 추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은 개인 간의 단순 분쟁뿐만 아니라 범죄 수사에서도 핵심 증거를 확보하는 기반.. 2025. 9. 6.
SNS 계정 해킹 증거를 찾는 디지털 포렌식 절차 1. SNS 계정 해킹의 주요 징후와 초기 증거 확보 SNS 계정이 해킹되면 비정상적인 로그인 시도, 계정 정보 변경, 알 수 없는 메시지 전송, 팔로우·언팔로우 패턴의 급격한 변화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행위는 대부분 계정 소유자가 인지하기 전부터 공격자에 의해 진행되며,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야 피해자가 이상 징후를 인식한다. 디지털 포렌식에서는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한데, 계정 활동 로그·로그인 IP·기기 식별 정보·인증 내용 등을 즉시 수집해야 한다. 특히 SNS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보안 알림이나 접속 알림은 공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시간, 사용한 브라우저나 기기 유형,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핵심 단서가 된다. 이때 증거 보존의 원칙을 준수해야 하며, 피해자가 직접 로그를 삭제하거나 캡처만 .. 2025. 9. 6.
랜섬웨어 감염 후 데이터 복구 가능성 분석 1. 랜섬웨어 감염 메커니즘과 피해 확산 원인 랜섬웨어는 시스템의 중요 데이터를 암호화해 접근을 차단한 뒤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로, 최근 공격은 단순한 파일 암호화를 넘어 네트워크 전체를 장악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공격자는 보통 피싱 이메일, 취약한 RDP(Remote Desktop Protocol) 접속, 소프트웨어 취약점 등을 통해 내부망에 침투하며, 일단 초기 감염이 이루어지면 스크립트 기반 자동화 툴을 이용해 연결된 서버·PC·백업 장치까지 빠르게 확산시킨다. 특히 최신 랜섬웨어는 단순히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넘어 파일명 변경, 복호화 키 삭제, 다중 암호화(Double Encryption) 기법 등을 사용해 복구 난도를 극대화한다. 이런 공격의 특징은 암호화 대상 선정이 무차별적이지.. 2025. 9. 5.
기업 내부 조사에서 포렌식이 필요한 이유 1. 내부 조사에서 디지털 포렌식의 필요성 기업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단순한 규정 위반부터 산업기밀 유출, 회계 부정, 임직원 간의 분쟁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사안은 외부 침입에 의해 발생하는 사건과 달리, 조직 내부의 권한 있는 사용자가 연루된 경우가 많아 증거 확보 과정이 훨씬 더 까다롭다. 특히 사건 당사자가 증거를 고의로 은닉하거나 조작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디지털 포렌식은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실관계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규명하는 핵심 도구로 활용된다. 포렌식 절차를 적용하면 이메일 서버, 그룹웨어, 사내 메신저, 파일 서버,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수집해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삭제되거나 은폐된.. 2025. 9. 5.
실제 범죄 수사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포렌식 기법 1. 디지털 증거 수집과 이미지 복제 디지털 포렌식의 첫 단계는 증거을 원본 그대로 확보하고 변조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다. 범죄 현장에서 압수한 하드디스크, USB, 스마트폰과 같은 저장장치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봉인하여 데이터의 추가 변경을 막는다. 이후 분석 과정에서 **‘비트 단위 이미지(Forensic Image)’**를 생성하는데, 이는 단순히 보이는 파일만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섹터 단위로 장치 전체를 그대로 복제하여 삭제된 데이터, 빈 영역, 잔류 정보까지 그대로 담는다. 복제본이 생성된 뒤에는 MD5, SHA-1, SHA-256 같은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원본과 이미지가 완전히 동일함을 검증한다. 이때 FTK Imager, EnCase, X-Ways와 같은 포렌식 전용 툴이 .. 2025. 9. 4.